족부(발)
급성 발목 관절 염좌 후에 반복적으로 발목을 삐는 것을 경험하거나 발목의 느슨하고 힘이 잘 안 들어가는 느낌, 계단이나 비탈길 보행시 갑자기 무력해지는 느낌이 드는 경우에 의사의 이학적 검사 및 발목 관절 스트레스 방사선검사, MRI 검사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급성 염좌 후 1~3주간의 부목이나 보조기 등을 이용한 고정치료, 약물요법, 안정, 냉찜질 및 발 거상을 시행하고 통증과 부종이 감소하면 아킬레스 건 스트레칭 운동 및 비골 건 강화운동 및 고유수용 감각회복을 위한 재활운동치료를 병행합니다. 이러한 치료에도 기능적 및 기계적 불안정증이 지속될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 할 수 있습니다.발목 염좌손상은 스포츠와 관련된 흔한 손상으로 대부분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되나 기능적인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20~32% 는 동통이나 부종, 반복적인 염좌를 만성적으로 호소하게 됩니다.
급성 발목 염좌 손상의 경우 대부분은 기능적인 비수술적 치료에 호전되지만, 32% 정도에서는 보행시 동통, 부종 및 반복적인 발목 접질림을 경험하게 되며, 운동할 때 발목의 불안정한 느낌, 갑자기 무력해지는 느낌이 든다고 호소합니다.
수술 전 발목 인대 이완평가 검사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
수술 전 말목인대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상 전방 불안정성과 외측 불안정성이 관찰됨
수술 전 MRI검사상 전방거비인대 파열 소견, 종비인대의 부분파열 및 활액막염 동반 상태
관절경 수술 소견상 발목의 전외측부의 심한 염증(활액막염) 소견과 수술적 치료(제거) 장면
관절경 수술 소견상 전방거비인대와 종비인대의 만성적인 파열 소견 관찰됨
발목 외측 인대 재건수술 전과 후의 발목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 사진으로
수술 전 불안전증이 호전된 양상 관찰됨발목 외측 인대 불안정증에 대한 발목 외측 인대 재건술 시행 후 6개월 후
시행한 발목 스트레스 사진상 불안정성이 호전된 소견 관찰됨
ㆍ 전문화된 외래 진료 및 검사
ㆍ 보조기 등의 고정치료 및 약물요법
ㆍ 물리치료
- 스캐너 등 각종 최신 물리치료 장비
- 운동재활치료의 연계성 있는 치료
- 발목의 기능회복 및 스포츠 활동 복귀
수술 방법에는 해부학적 인대 복원술(modified brostrom op) 과 자가건 혹은 동종건을 이용한 해부학적 인대 재건술(anatomical lig. Reconstruction)이 있습니다. 입원은 3~5일 정도, 수술시간은 방법에 따라 50분~2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수술 후 약 4~6주 정도 석고고정을 요하며, 술 후 약 1~2주째 부분 체중 부하 보행을 시작하고 술 후 4주 혹은 6주이후 부터 보조기를 약 8주간 착용하며, 인대 및 근력 강화, 고유 수용감각 회복을 위한 재활운동치료를 병행해야 하며, 술 후 3개월에 조깅을 시작으로 보통 5~6개월에 스포츠 활동복귀를 합니다.
진료 안내
1588-2012
평 일AM 9:00 - PM 6:00
(오후 1~2시, 점심시간)
토요일AM 9:00 - PM 1:00
의료진 별 진료시간 및 공휴일 진료 일정은
내원 전 반드시 확인 부탁드립니다.
첨단의술과 인술을 겸비한
평촌나우 진료·편의시설